안녕하세요, 금일 CKA에 이어 CKAD시험을 쳤습니다

 

udemy강의 를 구매해서 봤는데 CKA랑 겹치는게 90%이상이였어요...괜히 구매했습니다 환불하고 싶지만 그래도 강의덕을 봤으니 구매 유지 결정

 

결론만 말씀드리면 CKA를 좋은 점수로 합격하신분들은 별도의 강의 구매없이 + 프로브,job,cronjob 정도만 스터디 하시고 바로 시험보시면 쉽게 붙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험은 CKA와 동일하게 2시간이며 19문제가 나옵니다

 

주의해야 할 점 은 CKA보다 지문내용이 아주 복잡 해졌습니다 CKA처럼 짧은 지문(명령어 한줄로 끝내는문제)는 2문제 정도밖에 없었어요

 

지문이 너무 길어 크롬확장기능 번역기로 번역하면서 풀었습니다

 

복잡도랑 배점은 비례하지 않으니 잘 살펴보세요 저같은경우는 제일 복잡하고 긴 문제가 2점짜리여서 포기했습니다 ㅋㅋ

 

대충 기억하자면 기존에 있는 pod에 접속하기 위해 haproxy pod를띄우고 proxy를 통한 haproxypod -> svc -> pod 접근 구성 하는거였는데 난생 첨보는거고 너무 복잡했고 배점도 2점뿐이라 그냥 깔끔하게 포기 했습니다

 

나머지 18문제는 다 그냥저냥 풀만했구요 프로브 문제가 3개정도 나왔던거 같습니다

 

하나는 프로브 1개 설정하기

 

두번째는 프로브2개 설정하기

 

세번째는 프로브가 잘못 설정되어있어 계속 restart하는 pod의 대한 트러블 슈팅 이였습니다

 

job은 cronjob을 이용하는걸로 1문제 나왔습니다

 

이외에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뺴놓고는 좀 복잡해졌을뿐이지 CKA와 공부 범위는 동일 합니다

 

그런데 CKAD가 9월28일부로 변경된다고 합니다 helm도 추가되고 전체적인 범위조정이 있다고 하네요..

 

보실분들은 그전에 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CKA와 마찬가지로 20분정도 남겨놓고 검토까지 완료하여 시험을 종료 했습니다

 

결과 나오면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CKA 시험 후기를 남깁니다

 

최근 CKA는 시험시간 2시간에 합격점수는 66%로 변경되었습니다(CKAD와 동일)

 

금일 시험을 봤고 아직 결과는 나오지 않았으나 기억하는게 많을때 작성하는게 좋을것 같아...

 

접수 방법이나 결제 방법에 대해서는 별도의 언급을 안하겠습니다

 

시험 준비는 udemy 강의 13000원으로 할인 할때 구매해서 보면서 공부 했습니다 이것만 다 보고 이해하시고 연습문제 푸실수 있으면 거의 100% 합격이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여러 블로그에서 나온대로 kubernetes.io 에서 각 항목별 즐겨찾기 해두기가 시간절약에 아주 도움이 됩니다

 

그냥 문서 말고 문서내 yaml파일 이나 필요부분 링크 클릭후 즐겨찾기 하면 북마크 클릭하면 바로 yaml이나 해당 항목에 떠서 시간 절약에 아주 좋습니다 꼭 미리 다 북마크 해두세요

 

또 크롬내 번역기 사용이 가능하나 기본 번역기는 전체 페이지 통 번역 밖에 없으므로 확장기능중 구글 번역을 설치하세요

 

해당 기능이 있으면 선택한 텍스트부분만 번역하여 팝업을 띄울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시험 내용 입니다

 

버전은 1.20.1 이였습니다

 

시험 시작 15분전부터 my portal내 exam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그러나 저는 정각+1분까지 감독관이 준비되지 않아 기다렸습니다

 

감독관이 준비되면 livechat으로 여러가지 요구사항과 주의사항을 알려줍니다

 

먼저 시험장소의 4개의 벽면을 차례로 웹캡으로 보여줘야 합니다

 

책상위에도 보여줘야 합니다 처음에 설명할때 투명 컵에 담긴 액체는 가능한줄 알고 takeout잔에 컵홀더만 때서 가져갔는데요.. 커피처럼 투명하지 않은 액체는 안된다고 해서 급하게 원샷하고 치웠습니다

 

책상 밑에도 보여줘야 합니다

 

그리고 ID카드를 요구하는데 저는 영문면허증을 준비했습니다

 

이게 되는지 안되는지 알아본다고 10분정도 소요 되었구요

 

감독관은 피드백이 굉장히 느렸습니다 뭐하나 물어보면 2분정도 후에 답변 했어요

 

준비만 30분정도 하고 시험이 시작됬습니다 준비시간은 시험시간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총 19개의 문제가 나왔고 2시간이 주어졌습니다

 

크롬브라우저의 번역기능 사용해도 됩니다 별다른 얘기 없었습니다

 

etcd백업 문제외에는 특정 context를 사용하라고 지문의 맨 처음에 나왔고 그냥 복붙하시면 됩니다

 

문제는 아래와 같습니다(기억나는것만 적습니다)

 

1. etcd 백업과 복원

 

2. 주어진 내용대로 POD생성

 

3. 주어진 내용대로 Multi Container POD생성

 

4. 현재 노드중에 POD의 배치가 가능한 노드의 갯수 파일에 입력

 

5. Control Plane노드의 k8s 버전을 1.20.0 에서 1.20.1로 업그레이드 하기(워커는 하면 안됨)

 

6. Network Policy를 생성하여 주어진 조건의 통신을 허용하기

 

7. Service Account와 Cluster Role을 생성하여 Cluster Role Binding 하기

 

8. sidecar를 이용하여 POD 모니터링

 

9. 주어진 내용으로 PV를 생성

 

10. 주어진 내용대로 PVC를 생성하고 이 PVC를 사용하는 POD를 만들기, 그 후 PVC를 Extend 하기

 

11. CPU사용률이 제일 높은 POD의 이름을 파일로 기록 하기

 

12. 주어진 조건대로 Ingress를 생성하고 확인하기

 

13. 이미 생성되어있는 Deployment의 replicas를 수정하기

 

14. Nodeport로 서비스를 생성하기

 

15. 특정 POD의 로그중 특정 내용만 파일로 기록 하기

 

16. Not Ready상태의 NODE를 확인하고 트러블슈팅하기 ( 저의 경우엔 kubelet이 stop & disable 되어 있었습니다)

 

17. 주어진 조건대로 POD를 생성하기(노드셀렉터 이용)

 

18. 특정 노드의 POD를 비우고 스케쥴 되지 않도록 하시오

 

19. 특정 Label을 가지고 잇는 POD들을 파일로 기록 하기

 

 

남은시간이 정확히 분으로 안나오고 막대로 나와서 불편했습니다..

 

다 풀고 한번 검증 한다음 남은시간이 20분정도 있었는데 더 볼게 없어 시험종료 버튼을 누르고 완료 했습니다

 

24시간 이내로 시험 결과를 보내준다고 하네요

 

 

시험종료 후 정확히 22시간 후 먼저 합격했다는 메일이 오고 결과메일이 또오고 뱃지관련 메일이 왔습니다

 

약간 불안한 부분도 있었지만 점수를 봐서는 무난하게 합격 한것 같네요

 

 

이번에 시험버전이 다 업그레이드 되어 출제 문제가 기존과 완전히 달라짐..

 

과거 덤프는 하나도 안맞고 레드햇 공식 사이트 학습 포인트

 

  • 디렉터 기반 배포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하여 작업
    • Identity 환경 파일을 사용하여 언더클라우드에 연결
    • Identity 환경 파일을 사용하여 오버클라우드에 연결
    • 템플릿 파일, 환경 파일 및 기타 리소스를 사용하여 OpenStack 환경에 관한 정보 획득
    • 컨테이너화된 서비스 사용
  • OpenStack 도메인 설정
    • 프로젝트 생성
    • 그룹 생성
    • 사용자 생성
    • 할당량 관리
  • 리소스 생성
    • 가상 머신 플레이버 생성
    • 오버클라우드에 기존 이미지 추가
    • 보안 그룹 생성
    • 키 페어 생성
  • 네트워킹 설정
    •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프로젝트에 할당
    • 네트워크 라우터 설정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설정
    • Open Virtual Networks 사용
  • 유동 IP 주소 설정
    • 유동 IP 주소를 사용하도록 인스턴스 설정
    • 유동 IP 주소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설정
  • 블록 스토리지 관리
    • 블록 스토리지 볼륨 생성
    • 블록 스토리지 볼륨을 인스턴스에 연결
    • 스토리지 볼륨 스냅샷 사용
  • Red Hat® Ceph Storage 사용
    • Ceph Storage 설정
    • Ceph Storage 모니터링
    • Ceph Storage 문제 진단 및 해결
  • 오브젝트 스토리지 사용
    • Swift 컨테이너 생성
    • Swift 컨테이너 활용
  • 공유 스토리지 사용
    • 공유 파일 시스템 생성
    • 공유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인스턴스 설정
  • 인스턴스 관리
    • 인스턴스 시작
    • 인스턴스를 지정된 프로젝트 및 네트워크와 연결
    • 키 페어를 사용하여 인스턴스에 연결
    • 배포 중 인스턴스 설정
  • Heat 스택 생성
    • Heat 템플릿 생성
    • 손상된 Heat 템플릿 진단 및 수정
    • Heat 스택 시작
  • 이미지 사용
    • 기존 이미지 수정
    • 커스터마이징된 이미지를 생성하여 플레이버 연결
    • 커스터마이징된 이미지에서 인스턴스 시작
    • 두 번째 컴퓨팅 노드에서 인스턴스 시작
  • OpenStack 서비스 사용
    • Identity 서비스 토큰 관리
    • RabbitMQ에서 추적 활성화
    • Ceilometer를 사용하여 통계 표시

위에 있는것들이 그대로 시험에 나온다

 

진짜 위에 내용이 그대로 시험에 나옴..해당 내용들 할줄 알면 시험 합격 할수 있음

 

취소선 한것 빼고는 내가본 시험에 나왔다

 

 

 

 

RHCSA와 시험 환경은 비슷함 레드햇깔린 PC에 system1,system2가 있고 시험문제는 system1만 하는것도 있고 system1,2둘다 하는것도 있으니 지문을 잘 읽어야함

 

한가지 팁을 주자면 dns서버 주소에 대한 정보는 아무것도 없음...근데 dns쿼리가 필요함(웹서버설정,yumrepo설정등)

 

시험 정보에도 dns서버에 대한 정보는 주지 않음, 티밍,ipv4주소,ipv6주소만 주고 yum 서버의 주소는 도메인으로 제공...

 

처음에는 헐 뭐지? 했는데 시험pc의 dns서버 주소를 확인하여 vm에 적용하니 잘 되었다...(/etc/resolv.conf)

 

이것이 의도 한것인지 단순 시험출제 오류인지는 모르겠음...

 

시험문제 이전에 사전정보에 ipv4주소,mask,yum repo주소,example.com에 대한 아이피 대역 정보, ipt44.com(주소는 기억안나서 임의로 지정,차단할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대역 정보 들이 주어짐

 

기본적으로 server with gui깔려있으며 그래픽모드로 전환하기위해 yum repo설정 후 servier with gui를 깔 필요는 없음 그냥 isolate 그래피컬타겟 하면됨

 

기본적으로 selinux는 enforcing 상태, firewall은 enable 상태이며 이것을 끄거나 비활성화 해서는 안됨

 

시험문제 정확한건 쓸수 없고 큰 틀만 나열하자면

 

network설정 =  team디바이스 생성하고 ipv4,ipv6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하기,방화벽에서 특정 주소 막고 포트포워드 하고

file share = NFS(krb5인증 사용,일반사용)해서 2가지가 나왔고 SMB(일반사용,multiuser사용) 해서 이것도 2가지 나옴

smtp = smtp relay 서버 구성하는것

아파치 설정 = 이건 3가지 나왓는데 일반호스트,v호스트,ssl 설정

db = mariadb dump파일을 받아 복원하고 해당 table에 특정값 조회후 주관식으로 쓰기

 

기억나는건 이정도고 중요한건 사전정보를 잘 읽어야 함 거기에 모든 필요한 정보가 있음.

 

예를들어 NFS문제의 경우 xxx.xxx.com 에서 접근이 가능하여야하지만 ooo.ooo.com에서는 접근 할수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달림

 

해당 도메인에 주소대역(ex 10.17.10.0/16)은 사전정보에 다 써있으며 본인은 방화벽+설정파일을 적절히 사용했음

 

exportfs에 10.17.10.0/16(rw)로 넣고 방화벽에서 차단할 대역을 rich rule drop으로 등록함

 

기본적으로 이러한 문제가 많기때문에 방화벽 사용법은 필수로 숙지하고 가야하며 firewall-config(gui)사용해도 무방함

 

또한 samba설정시 context의 변경, 아파치 설정시 기본포트 아닌 다른 포트의 사용 요구등이 있기때문에 selinux에 대한 사용방법도 숙지해야 함(semanage)

 

또한가지 주의할 점은 시험의 채점은 재부팅 후 이루어 진다

 

서비스가 대부분 설치가 되있는데 설치&시작&활성화로 외우다보니 설치되있네? 이러고 시작&활성화를 빼먹는 경우가 있음..

 

본인은 문제중 한개의 활성화를 빼먹어서 0점처리... 꼭 systemctl enable service && systemctl start service 하고 시작하길 바람..

 

아무리 설정이 완벽해도 enable안하면 0점

 

작동만 된다면 부분점수가 있으니 꼭 신경 쓰세요 작동안하면 아무리 잘해도 0점 작동만하면 설정한 부분에 대해서는 부분점수 있음

 

공부는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문제 후기들을 봤고 외울건 외우고 이해할수 있는건 이해하는 식으로 공부했음

 

가장 중요한건 외우는걸 줄이는거고 이를 위해서는 manual이나 doc help등을 이용하여 해당값이 어디 들어있는지만 알고 있으면 상세한 옵션값은 외우질 않아도 되니 많이 도움이 됨

 

예를들면 team 디바이스 생성시 필요한 runner 가 {"runner": {"name": "activebackup"} 이건데 이거 외우실??? 물론 외울수도 있지만 기억공간의 낭비.... man teamd.conf 하면 runner항목에 해당값이 들어있고 그거 그대로 복붙해서 쓰면 됨

 

{"runner": {"name": "activebackup"} 로 외울 걸 teamd.conf로 외우니 쉽게 외울 수 있고 대부분의 값들이 이러한 매뉴얼이나 /usr/share/doc 혹은 --help등에 있으니 필요없는걸 외우느라 고생하지 말고 잘 활용 하면 됨

 

또한가지 팁은 아파치 설정할때 vhost외울필요 없음.. /usr/share/doc/httpd-버전/에 들어가면 vhost예제 파일있음으로 해당 파일 보고 그대로 하면됨

 

저런거 써도 외워야 할게 많으니 쓸대 없는 외우기만 줄여도 반은 성공...

 

시험은 금요일날 봣고 결과메일은 월요일날 왔음.

 

300점 만점에 210점 이상이면 PASS

 

 

번역 문젠지는 모르겠는데 지문이 이해가 안가는것도 있었고 rhcsa에 비하면 난이도도 높고 외울것도 많고 시간은 부족함..

 

게다가 시험비가 인상되어(이제 42만원) 한번 떨어지면 피눈물 나니 준비 잘해서 한번에 붙길 바랍니다..

 

수정중

 

내가봣던 시험내용중 기억나는것 최대한 비슷하게 썻으며 좀더 쉽게 풀수 잇는 팁 포함.

 

 

시험은 레드햇이 깔린 PC로 보며 깔린 레드햇안에 가상시스템(vm)에 시험내용을 적용하면 됩니다

 

메인PC는 root로그인이 불가

 

햇갈리는 옵션은 외울필요없고 man페이지나 --help 이용하세요~~

 

시험은 종각역 솔데스크 학원에서 봤고 저는 300점 만점에 300점 으로 합격했습니다

 

시험은 토요일날 봤고 월요일 오후에 결과 메일이 왔습니다

 

결과 메일링크타고 들어가서 본인의 레드햇 계정에 서티를 add해주면 자격증 확인이 바로 가능합니다

 

 

 

 

0.root패스워드를 xxx로 설정하시오

 

grub 메뉴에서 아무키나 눌러 카운터를 멈춘 후 해당 메뉴에서 e키누름


linux16으로 시작하는 줄에 방향키를 이용하여 커서를 갖다 대고 end키를 눌러 맨 뒷줄로 커서 이동,


이후 한칸 띄우고 rd.break 입력, Ctrl+x로 부팅 시작


부팅이 완료되면 기존 root는 /sysroot 으로 ro(읽기전용)마운트 된 상태입니다


첫번째로 /sysroot를 rw로 리마운트 해줍니다


mount -o remount,rw /sysroot


remount=마운트 해제없이 재 마운트


rw=읽기,쓰기


이후 /sysroot를 /로 만들어 줍니다


chroot /sysroot


그다음 passwd 명령어를 이용하여 passwd 변경


이후 변경된 passwd파일의 컨텍스트 값을 se리눅스에서 다시 라벨링 하기 위해 아래 파일을 만듭니다


touch /.autorelabel


이후 exit 두번 입력하시면 자동으로 재부팅되며 변경된 passwd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컨텍스트 라벨 작업이 시간 소요됨,어느버전에서는 label 작업을 퍼센티지로 알려주지만 어느버전에서는 아무런 메시지도 안나타나므로 다운이 아니니까 기다리세요)

 

0.네트워크 설정(ip,mask,gw,dns 주소를 줫고 해당내용 설정하는것) 인터페이스는 eth0하나만 있었음.

 

nmcli,nmtui,gui,config파일 직접수정 4가지 방법중에 아무거나 편한방법으로 하시면 됩니다

 

0.호스트네임 설정

 

제시하는 hostname을 hostnamectl set-hostname {name} 으로 설정

 

0.yum repo구성

 

repo 서버 주소를 제시하여 주며 네트워크가 정상 설정 되어있어야함

 

repo파일 설정값 외우기가 귀찬으므로 아래의 방법 추천

 

#yum-config-manager --add-repo={url}

 

위에 명령어 수행하면 넣은 url주소로 자동으로 repo파일 만들어짐, gpgcheck=0 만 추가로 넣으면 구성 끝!

 

이후 yum repolist all 로 넣은 repo 가 정상적으로 enable 되어있는지, 패키지는 잘보이는지 확인

 

0번은 시험문제가 아니고 사전 준비사항?구성사항 식으로 써있던거고 해당 사항이 충족되지 않으면 시험문제 진행 자체가 불가함,

 

부팅하면 기본적으로 multiuser.target=tui모드 임, xwindow 깔려있으므로 쓰고싶으면 startx 나 systemctl isolate graphical.target 명령어 이용하여 gui 사용하면됨.

 

본인은 걍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하고씀.. 왜냐하면 문제 풀고 재부팅을 많이 해야 하기때문에

 

근데 실제로 gui쓸일이 없어서 쓸사람만 하세요..아래 1번 문제도 그냥 시험pc에서 ssh -X 주고 하면 됨

 

 

1.LDAP 계정 인증을 받도록 구성하시오

 

서버주소,dn name,TLS사용유무,인증 방식,인증서 주소 모두 제시하여 주며 시험보는 PC 에서 ssh -X 명령어를 이용하여 vm에 접속,

 

이후 yum install authconfig-gtk 로 gui authconfig 도구 설치,

 

#authconfig-gtk

 

명령어로 gui 인터페이스로 인증을 수행하면 되며 단순히 제시된 값을 넣는 수준, 이후 apply 단 kerberos 인증의 경우 krb 패키지 설치해야함, gui 진행시 설치하라는 창이 나오고 클릭만하면 자동으로 설치됨

 

getent passwd {user} 넣어 잘 되나 확인

 

이후 제시한 user,passwd 이용하여 ssh 접속 테스트 도 해보세요

 

2. test lv의 용량을 250M로 수정하고 해당 파일시스템도 확장하세요,단 파일시스템안에 내용에는 영향이 없어야 합니다

 

vg에 남은용량이 있었고 lv용량만 수정해주면 됫었음..

 

#lvextend -L 250M -r /dev/mapper/vg-lv

 

-L은 용량을 지정, -r 은 파일시스템 resize도 같이 수행

 

-r을 안줫을시 lv용량만 늘어나며 파일시스템은 xfs_growfs(xfs) 나 resize2fs(ext4) 명령어 이용하여 따로 해줘야함

 

그냥 -r 만 주면 위에 명령어 한줄로 끝

 

3. groupvg를 만들고 sharelv를 만들어 /mnt/share 에 영구 마운트 하시오

 

단 vg pe사이즈는 8mb 여야하며 sharelv의 크기는 100개의 pe여야 합니다 또한 vfat포맺이어야 합니다

 

파티션관련된 내용은 없었으나 fdisk -l 해보니 이미 3개의 파티션이 있었음,디스크는 로컬 한개

 

차후에 다른 문제가 나올수도 있으니 확장파티션으로 만듬(차후에 swap관련 문제가 또나와서 확장으로 안만들었음 갈아 엎었어야함)

 

확장 파티션 만든후 넉넉잡아 1G 파티션 하나 생성. lvm code(8e) 사용중인 디스크이므로 파티션 작업후 partprobe 필수

 

#pvcreate /dev/vda5

 

로 해당 파티션에 pv생성

 

#vgcreate -s 8 groupvg /dev/vda5

 

로 pe사이즈 8,pv하나쓰는 vg생성 (-s 옵션이 pe사이즈 지정해줌)

 

#lvcreate -n sharelv -l 100 groupvg

 

위에 명령어 -n은 lv이름 지정 -l 은 사이즈를 pe갯수로 지정할떄 사용

 

만들어진 lv는 mapper를 통해 자동 mapped되니 fdisk -l 로 경로 확인, 보통은 /dev/mapper/{vgname}-{lvname} 으로 됨

 

만들어진 lv를 vfat 포맺 하기

 

#mkfs.vfat /dev/mapper/groupvg-sharelv

 

xfs나 ext4의 경우 mkfs.뒤에 수정하면 됨

 

포맷 후 fstab 수정

 

blkid써서 나오는 UUID로 해도 되고 mapper써도 되고..

 

장치명으로 fstab 등록시 감점이 있다고함(강사피셜) 그러나 lvm의 경우 장치명이 아니므로(장치명 ex:sda sdb 등) 변경될 가능성이 없음. 그래서 /dev경로를 지정해주어도 감점 없었음

 

본인은 mapper 명으로 썻음

 

mkdir /mnt/share

 

vi /etc/fstab

 

/dev/mapper/groupvg-sharelv /mnt/share vfat default 0 2

 

값 넣은 후 mount -a 수행하여 에러 여부 및 df -h 로 마운트 된것 확인

 

 

4. 512m의 스왑 파티션을 만들고 영구 마운트 하시오,단 기존의 파티션 정보나 스왑파일 정보가 손상되어서는 안됩니다

 

3번에서 확장이 아니고 일반 파티션 만들었으면 4개 풀차서 이문제 진행 불가, 다행이 확장 만들어서 512m파티션 하나 만들었음 코드는 82(swap) 이역시 사용중인 디스크이므로 파티션 작업후 partprobe 필수

 

 

#mkswap /dev/vda6

 

명령어로 해당 파티션 swap으로 만들기

 

fstab 등록( 위에 설명한대로 장치명 쓰면 감점이 있다고 하니 blkid 써서 UUID로 하세요)

 

UUID=58013e4a-11c0-4195-8fd8-e4b33e5b17d6 swap      swap     defaults        0 0

 

혹시나 우선순위 설정하는 문제가 나오면 defaults,pri=1 이렇게 하면 됨 높을수록 우선이며 기본값은 -1인가 -2라 1로 넣어주면 우선순위가 올라갑니다

 

이후 swapon -a 마운트

 

swapon -s 로 확인

 

5.manager 그룹을 만드시오

보조그룹이 manager인 harry유저를 만드시오

sara계정도 보조그룹이 manager 입니다

manager 권한이 없는 sarah 계정을 만드시오 sarah는 로그인이 불가능하여야 합니다

모든 계정의 패스워드는 test여야 합니다

 

그냥 말장난이고 계정관리 개념 있으시면 어떻게 바뀌어서 나오든 쉬운 문제입니다

 

#groupadd manager

 

#useradd -G manager harry

 

#useradd -G manager sara

 

#useradd -s /sbin/nologin sarah

 

패스워드는 일일히 치기 귀찬고 확인도 쉽지 않으니 아래의 방법 추천

 

echo test | passwd --stdin harry

 

echo test | passwd --stdin sara

 

echo test | passwd --stdin sarah

 

6.그룹간 공유하는 폴더를 생성하시오

 

폴더는 /share/test 이며 manager 그룹에 속한 harry, sara 유저가 읽고 쓰기(실행도)가 가능해야 합니다

 

다른 모든 유저는 아무런 권한도 없어야 하며 root는 예외입니다

 

또한 uid 642를 가진 harry2 계정도 manager그룹에 속해야 합니다

 

또한 이폴더에서 생성되는 파일에 소유자 또한 manager여야만 합니다

 

말이 좀 이상하긴한데 기억나는대로 썻음...

 

#mkdir -p /share/test (폴더생성)

 

#chgrp manager /share/test    (test폴더에 그룹소유자 변경)

 

#chmod 070 /share/test 그룹에 rwx권한 주고 나머지는 뻄

 

#chmod g+s /share/test setgid 설정 (이걸 해놓으면 root가 파일을 만들어도 해당 폴더내에서는 소유그룹이 manager로 생성됨)

 

#useradd -u 642 -G manager harry2 위에 제시한 정보로 계정 생성

 

7./etc/fstab 파일을 /var/tmp/fstab 으로 복사 한후 권한 설정을 하시오

 

harry 유저와 sarah 유저는 해당 파일을 읽고 쓸수 있고

 

sara 유저는 아무런 권한도 없어야 합니다

 

현재 또는 미래의 모든 유저들은 읽기 권한이 있어야합니다

 

보면 chmod 하나로 설정이 안되는거고 acl써야합니다

 

#setfacl -m u:harry:rw- /var/tmp/fstab

 

#setfacl -m u:sarah:rw- /var/tmp/fstab

 

#setfacl -m u:sara:--- /var/tmp/fstab

 

#setfacl -m o::r-- OR #chmod o:r-- /var/tmp/fstab

 

최종 getfacl /var/tmp/fstab 으로 확인

 

이것도 말이 엄청 꼬여서 나오는데 그냥 차근하게 읽어보고 설정을 하면 됩니다

 

8. harry 유저가 매일 14시23분에 수행하는 echo test 반복작업을 등록하시오

 

crontab 문제 입니다

 

crontab -eu harry

 

23 14 * * * /usr/bin/echo test

 

해주시면 됩니다

 

분 시 일 월 요일 순이며 안전을 위해 명령어 Full Path를 적어주시면 좋겠죠??

 

9. server.example.com 으로 시간을 동기화하는 클라이언트 설정을 하시오

 

chrony 안깔려 있으면 설치 하시면 되고 깔려있으면

 

/etc/chrony.conf 열어서 서버 수정하면 됩니다

 

pool server.example.com iburst

 

확인은 chronyc 실행하고 sources -v 로 확인

 

10. test유저가 소유한 파일을 찾아서 /root/find 폴더로 복사하시오

 

#mkdir /root/find 폴더 생성

 

#find / -user test -type f -exec cp -rp {} /root/find/ \;

 

파일을 찾으래서 타입도 줫습니다 폴더도 있었는데 그건 당연히 복사 안됫겠죠?? 감점이 없는걸 보니 지문에서 요구한 사항만 만족하면 되는것 같습니다

 

혹시 몰라서 저는 p옵션도 줫구요 p옵션안주면 복사된 파일은 root:root 이고 p를 주면 test:test 입니다

 

11. /sys/xxx 파일의 strat 가 포함된 라인을 /root/strat.txt 파일로 생성하시오

단 원본 파일이 손상되어서는 안되며 strat.txt 파일에 빈칸이 있어선 안되고 모든 줄은 원본파일 내용의 복사본이여야 합니다

 

간단합니다..

 

grep strat /sys/xxx > /root/strat.txt

 

저희 경우 해당 파일에 administrator 이런식의 줄이 엄청 많았고 해당 줄 모두 strat.txt 에 들어 갔습니다

 

혹시 띄어쓰기가 있거나하면 단어 따옴표 붙히세요 'st st' 식

 

12.  해당 저장소에서 커널을 찾아 업데이트 하시오 (주소는 제시해줌)

 

업데이트한 커널로 기본 부팅이 되어야하고 기존 커널도 삭제해서는 안됩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wget {url}로 커널을 받은 후

 

 

yum localinstall {받은파일이름}.rpm 으로 설치 했습니다

 

이후 systemctl로 리붓하면 새로운 커널이 1번 과거커널이 2번 grub메뉴 자동 수정되어 있습니다

 

부팅후 yum list kernel로 2개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

 

13. selinux 모드를 enforcing으로 변경하시오

 

기본모드는 permissive 였습니다

 

/etc/selinux/config 파일을 열어 SELINUX=permissive 를 SELINUX=enforcing 으로 수정 (오타조심,오타내면 정상부팅안됨)

 

이후 재부팅하셔도 되고 setenforce=1 로 enforcing 모드로 바꾸셔도 됩니다 테스트 하시려면 재부팅 추천~~

 

14.1번에서 설정한 ldap (test6이라 가정)유저로 로그인시 home폴더를 자동으로 마운트 하게 하시오

 

nfs공유중인 서버의 폴더는 server6:/usr/test6 이며 /mnt/test6으로 자동마운트 되야합니다

 

#yum install -y autofs nfs-utils 설치 ( 저의 경우엔 둘다 깔려있었음)

 

/etc/auto.master.d/xxx.autofs 파일 생성, 확장자는 꼭 autofs여야함

 

직접경로 지정을 위해 파일내용 추가

 

/- /etc/nfs.auto

 

/- 직접경로

 

/xxx/xxx 간접경로

 

/etc/nfs.auto파일을 열어 실제 마운트 옵션등을 설정

 

/mnt/test6 -rw,sync server6:/usr/test6

 

만약 여러개를 설정해야된다면(ex test1~10까지 모두)

 

autofs에 상대경로를 지정 /- = /mnt/

 

nfs.auto파일에

 

* -rw,sync server6:/usr/&

 

해주시면 됩니다

 

이후 systemctl start autofs

 

systemctl start nfs-secure

 

systemctl enable autofs

 

systemctl enable nfs-secure

 

autofs 랑 nfs-secure실행하시고 자동실행되게 enable도하세요 안그럼 재부팅하면 작동안함~~

 

df -ah 로 autofs 설정 올라와 있는것 확인.

 

이후 su - test6 해서 홈폴더 잘 보이나 확인

 

재부팅해서 한번더 확인!

 

15. /USR 폴더의 내용을 /root/usr.tar.bzip2 아카이브로 생성하시오, 단 bzip으로 압축되어야 합니다

 

tar -jcvf /root/usr.tar.bzip2 /usr

 

jcvf를 주시면 tar로 묶으면서 bzip으로 압축까지 한방에 합니다..

 

file /root/usr.tar.bzip2 명령어로 bzip2 로 압축된 파일인지 한번더 확인

 

햇갈리면 man tar

 

 

 

 

 



합격..


가답 62점이였고 나머지 애매한것들 2문제 추가로 맞은듯..

 

주관식 이다보니 가답안 62점이랫어도 오타났을까봐 마음 졸였는데 기분좋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CE 후기 및 공부법  (5) 2020.03.22
RHCSA 후기/기출/공부방법  (5) 2019.07.22
정보처리기사 실기 후기  (1) 2018.04.17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0) 2018.04.17
리눅스마스터 1급 후기  (5) 2018.04.17

정보처리기사 2018년 1회 실기 후기

 

기사xxx에서 패키지로 끈었기때문에 실기도 저기서 공부했는데...

 

지금 보면 안좋은 선택.. 솔직히 나랑 안맞아서 그런진 모르겠는데 기사xxx 알고리즘 강의는 진짜 아무리 들어도 머리에 안들어옴 이해도 안되고..

 

억지로 1회 다 보기햇는데 머리에 들어오질 않음

 

2회 정도 보니까 반정도? 는 이해 된거 같고 도저히 더 못보겠어서 일단 넘어감

 

그다음 DB보는데 역시나 DB도 머리에 안들어옴... 뭔놈의 sql쿼리다 뭐다 외울게 너무 많음

 

잠시 접어두고 다른과목 봤는데 이건 뭔 정보처리기사 시험인지 정보암기기사 시험인지 분간이 안됨 외울게 어마어마하게 많음..

 

시험 2주정도 남겨놓고 거의 반포기 상태로 db,신기술,전산영어 등등 암기과목 위주로 솔직히 외우진 못하고 계속 여러차례 보기만함

 

1주정도 남겨놓고 알고리즘 복습겸 기출 구해서 풀었는데 이거 왠걸? 하나도 기억안남 ㅋㅋ 미쳐버리는줄

 

다시 인강보는데 진짜 나랑 넘 안맞음...못보겠음..

 

내가 이토록 멍청한가? 시험을 포기해야하나 고민중에 예전 2011년도에 유수샘? 강의 몇개를 유튜브에서 찾아서 보게됨...

 

머리에 쏙쏙 들어옴.... 알고리즘 자신감 뿜뿜 생김

 

알고리즘은 진짜 어느정도 맞출 자신 생겨서 남은기간 계속 암기함.. 근데 머리에 안들어옴...

 

알고리즘 부터 해서 괜히 막 기사xxx 강의자체가 나랑 안맞는것 같고...그래서 교보문고 가서 큰맘먹고 시나x 실기 책 구입(31000원)

 

4일 남았는데 ㅋㅋㅋ 근데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었음 2일동안 책 산거 위주로 공부 하다가 시험 2일전에는 진짜 반포기상태로 술마시고 다님

 

나름 공부 1달간 열심히 했는데 너무 자신이 없었음 시험보러 가지 말아야지 생각도 했음

 

근데 작년 3회가 합격률이 너무 낮았기때문에 혹시 쉽게 내줄수도 있을거란 기대감에 4월15일날 시험 보러 감

 

시험지 딱 받고 21장이였나 한장 한장 넘기면서 일단 훑터봄 점점 희망이 사라짐.... 한번더 훍터봄...아는 문제가 안보임

 

가슴이 콩닥콩닥 난 망했다 속으로 오만가지 생각듬 멘붕상태에서 한 두세차례 넘기면서 더 훍터봄...

 

정신 차리고 일단 풀어보자 하고 집중해봣음 몇몇개 아는문제가 보임 일단 1번 DB문제 결정자 종속자는 지문에 있었나? 아님 내기억에 있었나 암튼 품

 

서술형은 기억 안나서 대충 내용만 채웠고...

 

순서도의 경우 첨에는 막막하더니 디버깅 해보니까 대충 답나오길래 적고 나중에 한번더 풀어봤는데 맨아래 S변수를 못봄 ㅋㅋ 그래서 2문제 틀릴뻔했는데 발견해서 수정해서 다 품 순서도는..

 

용어문제는 반반씩 썻던거 같고...업무 프로세스는 지문에 답 다 있어서 꽁으로 15점 먹었고 스니핑 몰랐음...

 

전산영어는 진짜 봐도봐도 모르겠다가 5번 JAVA인거 알아채고 썻고 JAVA쓰니까 위에놈들 대충 유추 되서 object 찾았고 메시지 메소드 까진 씀 oop빼고

 

사실 java뺴고는 확신이 없었음 걍 찍은거

 

대충 풀고 정말 내가 느끼기에 확실한 답만 계산해보니 점수 51점~54점 정도 나옴...

 

시험 반 지나니까 수험생 반이상 나가버림...나는 미쳐버림...

 

아무리 보고 또 봐도 더이상 풀수 있는 문제가 없음...

 

db빈칸 채우기에서 ddl 컴파일러 찍어서 쓰고 거의 1시간을 봣는데 더 못풀겠음...

 

그래서 포기하고 나옴..

 

떨어졌다 확신이 들었음...

 

너무 우울했음... 가답안 나왓는데 보기 싫었음 1차 가답안 맞추어보니 역시나 54점 탈락....

 

2일전부터 술마신 내자신이 너무 싫었음 하루만 공부 더했어도 2~3문제 더 맞출수 잇었는데 븅신같이 또 한달 고생해서 공부할 생각하니 자괴감 쩔었음...

 

그러다가 몇시간 있다가 가답안 다시보니 띠용?? 전산영어가 아깐 없었는데 생겼네

 

전산영어 찍은게 다 맞음 거기다가 ddl 컴파일러 찍은것도 맞음 가답안 체크 결과 62점.....기분 날라감...지옥의 문턱까지 갔다가 한방에 천국으로 상승 혼자 허공에 주먹질하고 신나했음

 

와 나는 진짜 모든 자격증을 운빨로 따는것 같아 다른 수험생들에게 미안했음...

 

근데 주관식 이다보니 오타 날수도 있는거고 5월 25일 합격자 발표날까지는 이 기쁨을 좀 감추어야지...

 

작년 합격률이 너무 낮아 이번에는 업무프로세스 15점을 거저주면서 합격률을 좀 높힌 느낌...

 

이번에 1회차 보신 수험생 여러분들 다들 수고 많으셧습니다..

 

5월 25일 이후에도 합격 이였으면.....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CSA 후기/기출/공부방법  (5) 2019.07.22
2018 정보처리기사 1회 실기 결과  (0) 2018.05.25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0) 2018.04.17
리눅스마스터 1급 후기  (5) 2018.04.17
네트워크관리사 2급 취득 후기  (0) 2018.04.17

정보처리기사 2018년 1회 필기 후기

 

기사xxx인강 패키지 필기+실기 결제 해서 일단 인강 다 들음..

 

근데 카페나 이런대 가보니 필기는 저럴필요 없다고... 그냥 기출만 돌리면 된다는 글이 많았음.. 그래도 들었던거니까 끝까지 들음..

 

시험 1주일 정도 남기고 이기쥬히 요약집 및 기출문제로 부족한 부분 공부하였음

 

전자계산기는 아무리 인강을 듣고 요약집을 봐도 이해가 안됨...

 

제발 과락만 피하자는 심정으로 되는대로 공부함

 

시험날 시험지 딱 받았는데 눈앞이 컴컴

 

대충 공부 많이 한 DB랑 평소에 하던 운영체제는 나름 쉬웠음 데이타 통신,소프트웨어공학은 쉽진 않지만 과락은 아닌거 같은 느낌??

 

근데 문제는 전자계산기......솔직히 20문제중에 답 알고 푼거 4개 과락 면하려면 8개이상 맞아야함

 

16개 찍으면서 제발 이중에 4개만 맞으면 된다는 심정이였음 진짜 간절했음..

 

시험장 나오면서 16개중에 4개가 맞을 확률이 얼마나 될까 계산하다가 그냥 포기 떨어졌다 하고 그날 오후 가답안 체크 결과

 

찍은 16개 중에 6개나 맞음 그래서 합격! 운이 좋았음...

 

시험 치실분들은 꼭 전자계산기 과락 조심 하세요 전자계산기 과락만 피하면 합격권 입니다 화이팅!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CSA 후기/기출/공부방법  (5) 2019.07.22
2018 정보처리기사 1회 실기 결과  (0) 2018.05.25
정보처리기사 실기 후기  (1) 2018.04.17
리눅스마스터 1급 후기  (5) 2018.04.17
네트워크관리사 2급 취득 후기  (0) 2018.04.17

리눅스 마스터 1급 취득 후기

 

필기시험

 

네트워크관리사 2급을 너무도 쉽게 취득하여 바로 리눅스마스터 1급 응시

 

솔직히 리눅스는 일하면서 워낙에 많이 썻기때문에 아무 걱정이 없었음

 

시험 3일전까지 공부도 안하고 펑펑 놀다가 2일전에 기출문제를 보기 시작

 

그런데 이게 뭔일?? 일하면서는 신경도 안썻던 옵션에 i가 대문자 인지 소문자인지 이딴게 기출에 나오는거 보고 멘붕

 

솔직히 실무자들은 자주쓰는거 아닌이상 저런걸 안외우고 다닌다 왜냐면 help도 있고 man페이지도 있으니까..

 

내가 자주 쓰는 명령어가 아닌이상 저런걸 일일히 다 외우고 다닌 다는건 불가능!!

 

거기다가 막 리눅스 역사 이런게 나오고...ext4의 파티션 넘버를 고르시오 이딴거도 나오고...

 

진짜 개 멘붕 상태 리눅스마스터도 응시 비용이 굉장히 비쌋기때문에(1차 40,000원 2차 60,000원) 진짜 발등에 불떨어짐

 

미친듯이 열공했지만 2일만에 저걸 다 외우기란 불가능...진짜 기출만 달달 외워서 시험 장으로 갔음..

 

가서 시험지를 딱 받았는데 눈앞이 캄캄...기출에서 나온거 거의 없었음 반이상은 첨보는문제 아니면 내가 못외웠던지..

 

자신없이 문제 풀고 가답안 체점을 위해 수험표에 답번호만 적어서 나왔음 아 떨어졌구나 아무기대 없었음

 

가답안 나오고 체점결과 59점 1점 차이로 탈락,,,,,진짜 다음에는 공부 많이 해야지 하고 체념했는데 그다음날 다시 가답안을 보니 출제오류로 한문제 모든 답안 정답처리!!

 

기적적으로 60점 턱걸이로 필기 시험 합격 진짜 운빨로 합격

 

실기시험

 

필기때 방심하다 당한게 있어서 실기는 열심히 공부했음

 

실기시험은 시험장가면 리눅스 들어있는 USB를 주고 그걸로 부팅해서 설정값이나 이런걸 확인해서 답안지에 답을 쓰는 형식

 

man페이지 된다는걸 알고 있어서 config값 위주로 많이 외움 httpd의 경우 잘 아는편이고 man페이지도 있기때문에 대충 보고 프록시 name서버 bind mail 등 평소에 안봣던거 공부 많이 함

 

어느 후기에서는 인터넷이 된다고 봐서 노파심에 혹시 bind나 프록시 문제가 나왔는데 시험장 pc에 안깔려 있어서 config파일이 없으면 어쩌지? 라는 생각에 집에 컴퓨터에 리눅스깔아놓고 원격 열어놓고 파일 다 깔아놓고 준비하고 감

 

위에 경우에 내 컴터로 원격으로 들어와서 보고 풀 심산 이였음...

 

근데 그 후기를 협회에서도 봣는지 내가 간시험장에는 커널단에서 아예 네트워크가 죽어 있었음 네트워크 사용불가...

 

근데 시험문제 나온 모든게 다 깔려있었음..말그대로 노파심

 

작업형 쪽 배점이 굉장히 높았던걸로 기억 다 config값 넣는거였고 man페이지 및 xxx.conf 만 읽어보면 쉽게 풀수 있는문제

 

점수는 기억 안나지만 70점 중반 대로 기억함 작업형만 열심히 공부해서 작업형 아닌게 좀 틀림..

 

아무튼 합격

 

실무자라고 진짜 쉽게 생각하고 들이댔는데 생각보다 어려웠음..... 기출문제 충분히 보고 공부 많이 해야함

 

시험비가 비싸서 한번 떨어지면 눈물남...나도 필기 떨어졌을때 진짜 돈아까워서 눈물날뻔...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CSA 후기/기출/공부방법  (5) 2019.07.22
2018 정보처리기사 1회 실기 결과  (0) 2018.05.25
정보처리기사 실기 후기  (1) 2018.04.17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0) 2018.04.17
네트워크관리사 2급 취득 후기  (0) 2018.04.17

 

 

 

딴지는 오래됬는데 후기 작성이 늦어서 기억 나는것만..

 

네트워크 관리사는 내가 처음으로 취득한 자격증

 

필기시험

 

필기의 경우 처음에는 책을 사서 공부했는데 너무나도 방대한 양과 1급+2급 통합본이라 공부 안해도 되는 부분이 훨씬 많았음!

 

그래서 책은 대충 보고 접고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업무적으로 약간의 지식은 있었기 때문에 계산문제(서브넷 호스트주소 이런거) 는 거의 포기하고

 

나머지는 왠만하면 이해를 하고 정 안되는것들만 문제 답 외우면서 공부

 

80점대로 무난하게 필기 합격

 

 

실기시험

 

실기는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에서 시뮬들 받아서 해봣는데 솔직히 공부 할것도 없었음 너무 쉬웠음

 

뭐 설정하는 문제는 한글 윈도우가 뜨고 문제에 적힌 탭에다가 문제에 적힌 답을 채워넣는 수준??

 

역시나 여기도 호스트주소 이런거 계산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그냥 포기, utp제작하는건 눈감고도 제작하므로 연습 안했고 라우터 명령어만 좀 공부하고 시험 봄..

 

결과는 계산하는문제 하나빼고 95점으로 합격

 

첫자격증이 생각보다 쉬워서 자신감이 생겨 다른자격증도 차례로 도전하게 됨

 

 

시험 보는분들에게 드리는 Tip

 

실기 볼때 UTP 제작 익숙치 않은 분들은 꼭 저렴한 랜툴set라도 구매하셔셔 충분히 연습하시고 가세요 저렴한거 만원초반이면 삽니다 실기 응시료에 비하면 엄청 싸요

 

그리고 시험장에서는 탈피기를 주지 않으니 탈피기 있으신분들은 꼭 챙겨가시구요

 

시험비가 많이 비쌉니다 필기 응시료 : 43,000(원) 실기 응시료 : 78,000(원) 꼭 한번에 붙게 학습 많이 하고 가세요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CSA 후기/기출/공부방법  (5) 2019.07.22
2018 정보처리기사 1회 실기 결과  (0) 2018.05.25
정보처리기사 실기 후기  (1) 2018.04.17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0) 2018.04.17
리눅스마스터 1급 후기  (5) 2018.04.17

+ Recent posts